onload="setTargetToSelf()"
본문 바로가기
꿀팁 정보

등산도 좋지만… ‘이 질환’ 있으면 주의해야

by 연예부S 2022. 5. 25.
반응형

기온이 오르면서 주말마다 가까운 산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봄철 산에 오르면 맑은 공기를 마실 수 있을 뿐 아니라, 웬만한 운동보다도 높은 운동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라면 무리한 등산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퇴행성관절염이나 골다공증, 기타 만성질환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고령자의 경우, 무거운 배낭을 메고 몇 시간씩 산을 오르다보면 신체에 무리가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퇴행성관절염
퇴행성관절염을 앓고 있다면 3km 미만의 완만한 흙길 등산로를 천천히 걷는 것을 추천합니다. 한 시간 이내로 걷고, 내려올 때는 더욱 천천히 걷도록 합니다.

 

스틱을 이용할 경우 다리로 갈 하중의 30%가 팔로 분산될 수 있습니다. 등산 후 귀가할 때도 관절에 피로가 생기므로, 이 같은 점을 잘 고려해 체력을 안배해야 합니다.

골다공증
골다공증 환자 역시 뼈에 과도한 체중이 실리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평지보다는 약간의 경사가 있는 코스가 좋으며, 횟수는 주 1~2회 정도가 적당합니다. 폐경기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이 부족해 관절과 근육을 다치기 쉬우므로, 등산 전 충분히 몸을 풀어야 합니다.

 

당뇨병, 고혈압
당뇨병이나 심장질환·고혈압 환자 또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당뇨병 환자는 식사 후 최소 1~2시간 뒤 산에 오르고, 인슐린을 투여한 후에는 1시간 정도 지나서 등산을 시작해야 합니다.

 

이보다 빨리 산에 오르면 저혈당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식전 혈당이 300mg/dL 이상일 경우 등산하면 안 됩니다. 심장질환·고혈압 환자는 반드시 천천히 산에 올라야 한다.

50대라면 최대 심박 수를 1분당 120~130 이하로 유지하고, 평소 혈압을 수축기 140mmHg, 이완기 90mmHg로 조절하도록 합니다.

이밖에도 요통을 겪는 사람은 몸이 뻣뻣한 상황에서 준비운동을 하지 말고, 천천히 걸으면서 체온을 높인 뒤 스트레칭 등을 통해 관절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귀가 후에는 더운물 목욕으로 근육을 이완시켜야 합니다.

 

 

러닝 중에 발생할 수 있는 3가지 부상을 조심해야 합니다

최근 달리기를 목적으로 정해진 시간에 모여 함께 달리는 이른바 '러닝크루'가 MZ세대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러닝 앱을 이용해 혼자 달리기를 하며 하루 러닝 시간을 기록하는 사람도

onething.cidarforest.com


한편, 등산 중 휴식을 취할 때는 지치기 전에 쉬는 게 좋습니다. 이미 지친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면 원상회복이 어렵습니다. 배낭을 벗지 말고 나무나 바위에 기대 짧게 쉬며, 가열된 근육이 식기 전에 다시 걷도록 합니다. 체력 소모가 심하다면 배낭을 벗고 5분 정도 쉬어야 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